
곰탕과 설렁탕의 차이점 완벽 분석: 맛, 유래, 조리법 비교
곰탕과 설렁탕은 한국인이 즐겨 먹는 대표적인 국물 요리이지만, 그 차이점을 명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음식 모두 뽀얀 국물과 고기를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재료, 조리법, 맛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곰탕과 설렁탕의 유래, 재료, 조리법, 맛을 자세히 비교 분석하여, 여러분이 두 음식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곰탕과 설렁탕, 무엇이 다를까?
1. 유래와 어원
- 곰탕: 곰탕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는 ‘고음(膏飮)’에서 유래했다는 설입니다. 고음은 쇠고기를 푹 고아 만든 국이라는 뜻으로, 곰탕의 오랜 역사를 짐작하게 합니다. 또 다른 설은 곰 ‘고을 곰’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로, 이는 곰탕이 오랜 시간 푹 끓여내는 음식임을 나타냅니다.
- 설렁탕: 설렁탕은 조선시대 임금님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며 선농단에서 제를 지낸 후 백성들과 함께 나눠 먹던 음식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선농단에서 끓여 먹던 탕이라 하여 ‘선농탕(先農湯)’이라 불리다가, 점차 발음이 변하여 ‘설렁탕’이 되었다고 합니다[1]. 또 다른 설로는 몽골의 영향을 받아 생겨났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몽골의 ‘슐렝’이라는 고기국이 설렁탕의 기원이라는 주장입니다.
2. 재료의 차이
구분 | 곰탕 | 설렁탕 |
---|---|---|
주재료 | 양지, 사태 등 살코기 위주 | 소의 뼈(사골, 도가니)와 고기(양지, 사태, 머리고기, 내장 등) 다양하게 사용 |
국물 | 맑고 투명한 국물 (기름기 제거 중요) | 뽀얗고 탁한 국물 (사골에서 우러나온 콜라겐과 지방 성분) |
고명 | 얇게 썬 고기 (양지, 사태), 달걀지단 | 얇게 썬 고기 (양지, 사태, 머리고기), 파 |
특징 | 깔끔하고 담백한 맛 | 진하고 구수한 맛 |
간 맞추기 | 소금, 후추 (개인의 취향에 따라 간장 사용) | 소금, 후추 |
곰탕은 주로 양지, 사태 등 살코기를 사용하여 맑고 담백한 국물을 내는 반면, 설렁탕은 사골, 도가니 등 소의 뼈를 장시간 고아 뽀얗고 진한 국물을 냅니다 [1]. 설렁탕에는 머리고기, 내장 등 다양한 부위의 고기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3. 조리 과정 비교
- 곰탕: 곰탕은 주로 고기를 삶아 육수를 내고, 기름을 걷어내 맑은 국물을 만듭니다. 오랜 시간 끓여 깊은 맛을 내는 것이 중요하며, 끓이는 과정에서 생기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깔끔한 맛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재료 준비: 양지, 사태 등 곰탕용 고기를 준비합니다. 핏물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씻어줍니다.
- 육수 내기: 냄비에 물을 넉넉히 붓고 고기를 넣어 센 불에서 끓입니다.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여 약불에서 오랫동안 푹 끓입니다. 중간중간 떠오르는 불순물은 걷어냅니다.
- 기름 제거: 육수가 충분히 우러나면 고기를 건져내고, 국물은 차가운 곳에 식혀 기름을 제거합니다. 기름 제거는 맑은 곰탕 국물을 만드는 데 중요한 과정입니다.
- 고기 손질: 건져낸 고기는 먹기 좋게 얇게 썰어줍니다.
- 담아내기: 그릇에 밥을 담고, 썰어둔 고기를 올린 후 맑은 육수를 부어줍니다. 취향에 따라 달걀지단, 파 등을 고명으로 올려줍니다.
- 간 맞추기: 소금, 후추로 간을 맞춥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간장을 약간 넣어도 좋습니다.
- 설렁탕: 설렁탕은 사골을 장시간 고아 뽀얀 육수를 내는 것이 핵심입니다. 뼈에서 우러나오는 콜라겐과 지방 성분이 국물을 뽀얗게 만들고, 진하고 구수한 맛을 더합니다.
- 재료 준비: 사골, 도가니 등 설렁탕용 뼈와 고기를 준비합니다. 핏물을 충분히 빼줍니다. 핏물을 빼는 과정은 잡내를 제거하는 데 중요합니다.
- 육수 내기: 큰 솥에 뼈와 고기를 넣고 물을 넉넉히 부어 센 불에서 끓입니다.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여 약불에서 8시간 이상 푹 끓입니다. 중간중간 떠오르는 불순물은 걷어냅니다.
- 육수 보충: 육수가 줄어들면 물을 보충하면서 계속 끓입니다. 오랜 시간 끓일수록 국물이 진해집니다.
- 고기 손질: 고기가 충분히 익으면 건져내어 먹기 좋게 썰어줍니다. 머리고기, 양지, 사태 등 다양한 부위의 고기를 섞어 사용하면 더욱 풍성한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 담아내기: 그릇에 밥을 담고, 썰어둔 고기를 올린 후 뽀얀 육수를 부어줍니다. 파를 듬뿍 올려줍니다.
- 간 맞추기: 소금, 후추로 간을 맞춥니다. 설렁탕은 깍두기, 김치 등과 함께 먹으면 더욱 맛있습니다.
4. 맛의 차이
곰탕은 맑고 깔끔하며 담백한 맛이 특징입니다. 반면, 설렁탕은 뽀얗고 진하며 구수한 맛이 특징입니다. 곰탕은 기름기를 제거하여 깔끔한 맛을 강조하는 반면, 설렁탕은 사골에서 우러나온 지방 성분이 풍부하여 진한 맛을 냅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호하는 맛이 다를 수 있습니다.
곰탕과 설렁탕, 어떻게 즐길까?
- 곰탕: 곰탕은 맑은 국물 자체의 맛을 즐기기에 좋습니다. 밥을 말아 김치, 깍두기와 함께 먹으면 더욱 맛있습니다. 특히, 추운 날씨에 따뜻한 곰탕 한 그릇은 몸을 따뜻하게 녹여주는 훌륭한 보양식이 됩니다.
- 설렁탕: 설렁탕은 뽀얀 국물에 밥을 말아 깍두기 국물과 함께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파를 듬뿍 넣어 먹으면 설렁탕 특유의 느끼함을 잡아주고, 더욱 시원한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설렁탕에 소면을 넣어 먹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곰탕 레시피 (집에서 끓이는 곰탕)
재료:
- 양지 또는 사태 500g
- 물 2L
- 대파 1대
- 마늘 5쪽
- 국간장 1큰술
- 소금, 후추 약간
만드는 법:
- 고기는 찬물에 담가 1시간 정도 핏물을 뺀 후, 냄비에 물과 함께 넣고 끓입니다.
- 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이고 대파, 마늘을 넣어 1시간 30분 정도 푹 삶습니다.
- 고기를 건져 먹기 좋게 썰고, 육수는 면보에 걸러 기름기를 제거합니다.
- 육수에 국간장으로 간을 하고, 소금과 후추로 마무리합니다.
- 그릇에 밥을 담고 고기를 올린 후 육수를 부어 냅니다.
설렁탕 레시피 (집에서 끓이는 설렁탕)
재료:
- 사골 1kg
- 도가니 500g
- 양지 또는 사태 300g
- 물 3L
- 대파, 다진 마늘, 소금, 후추
만드는 법:
- 사골과 도가니는 찬물에 담가 4시간 이상 핏물을 뺍니다. 중간에 물을 갈아줍니다.
- 냄비에 사골, 도가니, 양지를 넣고 물을 부어 센 불에서 끓입니다. 끓어오르면 불을 줄여 약불로 6시간 이상 푹 고아줍니다.
- 중간중간 떠오르는 불순물은 제거하고, 물이 부족하면 보충해줍니다.
- 사골과 도가니를 건져내고, 육수는 면보에 걸러 기름기를 제거합니다.
- 양지는 건져내어 얇게 썰어줍니다.
- 뚝배기에 밥을 담고, 양지를 올린 후 육수를 부어 냅니다. 대파와 다진 마늘을 넣고 소금, 후추로 간을 합니다.

결론: 취향에 따라 즐기는 곰탕과 설렁탕
곰탕과 설렁탕은 각각 다른 매력을 지닌 한국의 대표적인 국물 요리입니다. 맑고 담백한 맛을 선호한다면 곰탕을, 진하고 구수한 맛을 좋아한다면 설렁탕을 선택하면 좋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곰탕과 설렁탕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맛을 찾아 즐겨보세요. 집에서 직접 끓여 먹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